이번에는 성공과 실패의 기록에 대해 작지만 확실한 변화의 시작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“내가 줄인 쓰레기 하나가 무슨 의미가 있겠어?”
처음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.
하지만 30일 동안 제로 웨이스트를 실천해 본 지금,
그 하나의 쓰레기를 줄이는 행동이 내 삶 전체를 바꿀 수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.
이 글에서는
제가 30일간 실천한 루틴
예상 못 한 실패와 난관
그리고 그 속에서 얻은 심리적 변화
를 솔직하게 공유하려 합니다.
제로 웨이스트 30일, 이렇게 실천했습니다
기본 원칙 설정
처음부터 완벽한 제로 웨이스트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기에
“줄일 수 있는 만큼 줄인다”는 마음으로 접근했습니다.
실천 목표는 다음과 같았어요:
일회용품 사용 최소화
재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대체
포장 없는 식재료 구입 시도
외식/배달 자제, 도시락 챙기기
하루 쓰레기양 기록
주간 실천 루틴 예시
요일 실천 내용
월 텀블러+에코백 지참 / 출근 도시락 챙김
화 종이/플라스틱 분리수거 점검 / 욕실 쓰레기 기록
수 냉장고 정리 → 유통기한 임박 식재료 우선 요리
목 장 보러 가는 날 → 제로마켓 / 채소망 사용
금 쓰레기 통 점검 → 어떤 쓰레기가 가장 많이 나오는지 체크
주말 밀프렙(주간 식사 준비) / 생활용품 리필 스테이션 방문
주요 아이템 변경 내역
기존 변경 후 변화
생수병 개인 텀블러, 정수기 플라스틱 병 0개
일회용 생리대 생리컵, 면 생리대 자극 ↓, 쓰레기 ↓
클렌징 티슈 클렌징 패드 + 오일 피부 개선, 쓰레기 ↓
비닐봉지 장바구니, 채소망 습관화 성공
배달 음식 밀프렙 도시락 음식물 쓰레기 ↓
예상 밖의 실패들 – 그리고 배운 점
1. 도시락 → 귀찮음의 벽
초반엔 도시락을 잘 챙겼지만,
2주 차부터는 “오늘은 그냥 한 번만…” 하는 마음이 들더라고요.
결국 피곤한 날엔 배달을 2번 시켰고,
그 순간 일회용 용기가 그대로 다시 쌓였습니다.
→ 깨달은 점: ‘완벽함’보다 ‘유지 가능함’이 중요하다.
→ 해결법: 도시락도 간단한 형태로 변경 (샐러드+삶은 달걀)
2. 텀블러… 안 챙긴 날엔 결국 종이컵
텀블러를 들고나갈 때마다 뿌듯했는데
하루는 깜빡하고 두고 나가 종이컵 사용.
→ 깨달은 점: ‘준비되지 않은 상황’이 가장 큰 장애물
→ 해결법: 사무실/가방용 텀블러 각각 1개씩 준비해 항상 구비
3. 장보기 → 포장 없는 식재료 구하기 어려움
대형마트는 여전히 포장 위주.
제로마켓이나 로컬마켓은 가까이 없거나 가격 부담이 있음.
→ 깨달은 점: ‘의지’도 중요하지만, ‘구조적 한계’도 있음
→ 대안: 유기농 꾸러미 배송(무포장), 시장에서 비닐 대신 채소망 사용
변화의 기록 – 쓰레기양과 심리적 효과
쓰레기양 실제 변화 (한 달 비교)
항목 도전 전 도전 후
플라스틱 병 주 6개 주 0
1개
비닐봉지 주 15장 이상 주 3
5장
음식물 쓰레기 매일 발생 주 2~3회로 감소
생리대/일회용 티슈 15개 이상 0개
총합: 약 70% 쓰레기 감소
느낀 점: 예상보다 더 ‘나’를 바꾼 시간
“무의식적으로 버리던 것들에 책임감을 갖게 됐다.”
“물건 하나를 살 때 기준이 바뀌었다. ‘얼마’가 아니라 ‘얼마나 오래 쓸 수 있는가’.”
“쓸데없는 소비를 줄이니 통장도, 마음도 여유가 생겼다.”
“환경을 위한 실천이 결국 나를 위한 실천이었다.”
가장 효과 있었던 습관 5가지
텀블러+에코백 항상 가방에 넣기
배달앱 삭제 / 외식 줄이고 밀프렙 하기
욕실 제품 리필스테이션 이용하기 (샴푸·바디워시 등)
플라스틱 줄이는 대체품 사용 (면 생리대, 고체치약)
주 1회 ‘쓰레기 통 점검’으로 피드백받기
30일 동안 제로 웨이스트를 실천하면서
완벽한 제로는 불가능하다는 걸 인정하게 됐습니다.
하지만 ‘노력하는 사람’이 되는 건 가능하다는 것도 느꼈습니다.
내가 줄인 쓰레기의 무게보다,
내 안에서 바뀐 ‘태도’와 ‘가치관’이 훨씬 더 큽니다.
쓰레기를 줄이는 건, 결국 삶의 방식을 바꾸는 일입니다.
오늘 하나의 물건을 덜 사는 것,
한 번의 포장을 피하는 것,
그 작은 실천이 어제의 나와 다른 내일을 만들어줍니다.